영화전공 졸업 요건과 필수과목
		1. 예술제작석사(M.F.A.) 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전공에서 요구하는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을 포함하여 최소 36학점을 취득하고,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졸업 작품을 제작하거나 작품에 관한 기획 또는 설계에 대한 논문을 작성 후 제출하여 논문심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예술석사(MA) 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전공에서 요구하는 전공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을 포함하여 최소 30학점을 취득하고 졸업 논문을 제출하여 논문심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여야 한다. Ph.D. 과정의 총 이수 학점은 60학점이며,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논문을 작성하거나 또는 작품 및 그와 관련된 논문을 완성한다.2. M.F.A. 과정(문화콘텐츠 전공 M.A. 과정 포함)은 인접 영역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기 위해 아래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이수해야 한다. (단, 내러티브워크숍 및 분석의 경우, 아래의 절차를 통한 뒤, 전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면제할 수 있다.
① 전공 필수인 <내러티브워크숍 및 분석> 수강 면제는 본인이 연출한 작품 중의 한편을 제출하여 심사를 통해 결정된다.
② 원칙적으로 영상대학원 입학 전에 본인이 연출한 작품을 제출하여 면제 심사를 받을 수 있다.
③ 단, 두 학기를 이미 마친 학생에 한하여 영상대학원에서 연출했던 작품을 제출하고 면제 심사를 받을 수 있다.
④ 매 학기 개강 후 2주 이내에 내러티브 워크숍 담당 교수님에게 작품 파일을 제출하여야 한다.)
영화 전공 필수과목
		| 석사 | 연출 | 다큐멘터리 | 시나리오 | 연기 | 
| ①인간연구 Ⅰ ②내러티브워크숍 및 분석 ③시나리오창작 Ⅰ ④영화연출론 ⑤영화제작워크숍Ⅰ ⑥영화제작워크숍Ⅱ ⑦프로덕션프로젝트Ⅰ | ①인간연구 Ⅰ ②내러티브워크숍 및 분석 ③촬영의 이론 및 실제 ④다큐멘터리 세미나 및 워크숍 ⑤고급다큐멘터리 세미나 및 워크숍 ⑥프로덕션 프로젝트Ⅰ | ①인간연구 Ⅰ ②내러티브워크숍 및 분석 ③소재개발과 줄거리 창작 ④장편시나리오 워크숍 Ⅰ ⑤장편시나리오 워크숍 Ⅱ | ①인간연구 Ⅰ ②내러티브워크숍 및 분석 ③아메리칸 연기 테크닉 ④메소드 연기 | |
| 박사 | ①석·박사논문연구 Ⅰ ②석·박사논문연구 Ⅱ | |||
3. 모든 신입생은 두 학기가 끝나기 전에 지도교수를 정하여 연구 및 수강에 대한 상담을 받아야 한다.
영화전공자들은 입학 후 관심분야(연출, 촬영, 시나리오, 연기, 다큐멘터리)에 맞추어 교과과정을 이수하되 기본 공통영역의 교과과정을 이수한 후 관심영역을 개발할 것을 권장한다.
* 아래의 교과목은 실제 개설되는 강의와 다를 수 있습니다.
| 331 인간연구 I (Human Study I) 3학점 | 
| 영상예술전공의 핵심 과목 중의 하나로서 한 학기 동안 유명인 또는 무명인 한 개인의 삶을 밀착 영상 취재 및 구성한다.그리하여 최종 약 A4 30페이지에 이르는 인간 보고서를 완성한다. | 
| 335 음향 녹음의 실제 (Sound for Film and Video) 3학점 | 
| 녹음 및 믹싱 과정에서 필요한 녹음 이론 및 테크닉에 대해 탐구하며, 진행 중에 있는 개인 작품의 음향상의 창조적인 문제점을 다룬다. | 
| 338 촬영의 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in Cinematography) 3학점 | 
| 광학, 카메라, 필름, 필터, 젤라틴 등 스튜디오 및 로케이션에 있어서의 촬영의 일반적인 원리 및 이론을 다룬다. | 
| 339 촬영의 이론과 실제 II (Theories and Practices in Cinematography II) 3학점 | 
| 선수과목: (촬영의 이론과 실제 I) 또는 담당교수의 승인. 각종 조명 기구와 그 활용법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인 과목으로서 조명 설계를 위한 조명의 특성, 색, 톤, 무드 등을 분석 고찰하며, 진행 중에 있는 개인 작품의 촬영상의 창조적인 문제점을 다룬다. | 
| 344 이미지와 인식 (Image & Perception) 3학점 | 
| 인간의 감각과 지각과정을 이해하고, 이미지 생성과정의 이해에 초점을 둔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인식의 과제들도 논의된다. | 
| 350 발성과 화술 (Voice and peech) 3학점 | 
| 연기와 관련이 있는 호흡의 기본을 이해하고 발음과 발성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훈련하여 단어와 문장을 좋은 공명과 발음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연마한다. | 
| 352 연기 I (Acting I) 3학점 | 
| 스타니슬라브스키 연기 시스템과 세계적인 연기 교육자들의 방법론에 의한 사실주의 연기 테크닉을 배운 다음, 충분한 실습을 통해 연기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 
| 355 소재 개발과 줄거리 창작 (Story Development) 3학점 | 
| 전공 과정을 통해 연구하고 창작할 소재가 무엇인지에 대해 폭 넓게 이해하는 과목으로서 창작하고 싶은 소재는 무엇인가, 결정된 소재를 어떻게 개발하고 발전시키는가 등에 대한 방법론을 모티프와 주제 연구라는 이론적 접근을 통해 알아보고, 최종 결정된 소재를 줄거리로 발전시킨다. | 
| 403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심리론 (Media Entertainment Psychology) 3학점 | 
| 영상미디어에 나타난 다양한 장르의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분석 평가하고 여러 심리적 효과를 분석한다. | 
| 406 세계 영화사 (History of World Cinema) 3학점 | 
| 영화의 탄생에서부터 현대 영화에 이르기까지의 영화 역사 연구를 통해 영화 예술의 형식과 양식의 흐름을 살펴본다. 러시아 몽타주 이론, 독일 표현주의, 미국 영화의 성장, 뉴 웨이브 영화, 제3세계 영화 등. | 
| 407 현대영화이론 (Contemporary Film Theory) 3학점 | 
| 1950년대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는 영화의 역사적 비평적 연구. 전통적인 스토리텔링 방식에서 양식상 복합적인 발전을 이뤄온 현대 영화의 뿌리를 찾는다. | 
| 408 영화 분석 및 비평 (Film Analysis and Criticism) 3학점 | 
| 영화 분석 방법들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비교 연구. 신비평, 작가주의, 장르 연구, 신형식주의, 구조주의, 기호학, 심리분석, 이데올로기적 분석, 페미니즘, 해체주의 등의 분석 방법을 다룬다. | 
| 409 영화 연구 (Approaches to Film) 3학점 | 
| 영화사적으로 주요한 감독들의 작품을 통해서 영화역사에 대한 통찰력과 영화언어의 진화를 이해한다.(Antonioni, Allen, Bresson, Coppola, Eisenstein, Godard, Hitchcock, Huston, Kubrick, Kurosawa, Lynch, Ozu, Polanski, Ray, Renoir, Scorsese, Sternberg, Truffaut, Visconti, Welles, Wyler, 그 외) | 
| 411 다큐멘터리 세미나 및 워크숍-인간연구 II (Documentary Seminar & Workshop-Human Study II) 3학점 | 
| 종합적인 관찰을 바탕으로 인간을 연구하는 ‘인간연구 I’ 과목에서 조사한 인물에 대해 약 30분 정도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실제 제작한다. | 
| 412 영화산업론 (Film Industry) 3학점 | 
| 영화는 예술이자 산업이다. 본 과목은 정치경제적인 측면에서 영화 산업을 연구한다. 따라서 법과 정책, 뉴테크놀로지, 뉴미디어의 등장과 같은 요인들이 과거 어떻게 영화산업을 형성했고 현재와 같은 구조로 발전하는데 영향을 주었는지를 조사하고 연구한다. 강의 전반에서는 과거 영화산업에 영향을 준 요인들과 이로 인한 변화들을 살펴보고 강의 후반에서는 현재 영화산업의 이슈들을 진단함으로써 미래를 전망해보도록 한다. 급속히 변화하는 영화산업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 동향을 탐색하며 영화산업의 정책적 논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 
| 414 캐릭터 심리-인간연구 II (Psychology of Character-HumanStudy II) 3학점 | 
| 종합적인 관찰을 바탕으로 인간을 연구하는 ‘인간연구 I’ 의 시나리오 전공 연계 과목으로서, 영화/드라마에 있어서 역동적인 인간 행동의 이해를 통해 어떻게 하면 영향력 있는 캐릭터를 개발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 
| 420 논픽션 필름메이킹 (Non-Fiction Filmmaking Production) 3학점 | 
| 이 과목은 논픽션 영화를 만들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수업으로서, 각 학생은 뮤직비디오, 실험영화, 단편 다큐멘터리영화 등의 논픽션 영화를 기획, 연출 및 촬영 그리고 편집을 해야 한다. 각 프로젝트는 매우 다른 접근법으로 프리 프로덕션, 촬영, 편집 등이 진행된다. 따라서 수업은 철저한 준비와 실행을 요구하며 몇 주에 걸친 기획과 촬영이 필요할 것이다. | 
| 427 편집 분석 (Editing Analysis) 3학점 | 
| 영화의 주제와 구조를 명확히 드러내기 위한 편집이론 수업 | 
| 439 시나리오 창작 I (Writing for Film and Television I) 3학점 | 
| 워크숍과 연계된과목으로서 영화 및 텔레비전 스크립트 작성에 필요한 시각화, 드라마적 구조, 캐릭터 개발, 갈등, 대사 등 형식적 기본 요소들을익힌다. | 
| 442 영화작법 (Filmmaking Fundamentals) 3학점 | 
| 영화 제작에 있어서의 촬영, 녹음, 편집 등 기본적인 제작 기술의 요소들을 습득하는 과목으로서 개인적인 탐구와 더불어 공동 작업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 
| 445 영화 연출론 (Theories of Screen Directing) 3학점 | 
| 영화 및 텔레비전 연출의 이론적, 실제적 기초를 확립하기 위해 강의와 실습을 통해 연출 이론, 극적 형식 및 연기 등에 대해 연구한다. | 
| 446 프로덕션 디자인 (Production Design) 3학점 | 
| 영화 및 텔레비전에 있어서의 창조적 작업의 한 부분인 프로덕션 디자인에 대한 소개로서 로케이션 물색, 사진, 기타 예술 장르의 리서치를 통해 스크립트에 대한 시각적 개발을 주목표로 한다. 장면의 색조와 소품에서 의상에 이르기까지의 표현에 대해 연구한다. 감독, 촬영감독, 의상디자이너,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과의 협동 작업에 대해 설명. 다양한 시각적 접근을 보여준 영화들을 발췌하여 강의한다. | 
| 450 드라마 창작 (Writing for Television) 3학점 | 
| TV 드라마 스크립트 개발을 위한 워크숍으로서 기획에서부터 트리트먼트, 스크립트, 발표 등의 과정을 거친다. | 
| 453 무브먼트 (Movement for the Actor) 3학점 | 
| 긴장을 풀어주어 배우로서의 바른 자세와 유연성을 유지하고, 어떠한 공간적 상황과 조건에서도 순간적 또는 즉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움직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표현력을 키운다. | 
| 454 장편 시나리오 분석론 (Feature ScriptAnalysis) 3학점 | 
| 장편 시나리오에 대한 구조 분석 수업으로서 플롯 개발, 캐릭터 대사, 스토리 등을 연구. 작품 분석을 통해 독해력을 향상시키고. 시나리오의 특성과 시나리오의 유형(고전적 시나리오 및 반 고전적 시나리오) 등을 연구한다. | 
| 456 연출-프리 프로덕션 (Directing-Pre Production) 3학점 | 
| 스크립트의 시각화를 위한 실기 과목으로서, 과제와 토론을 통해 아트 디렉션, 카메라 배치, 편집 등에 있어서의 연출상의 선택에 대해 탐구한다. 개별적인 작업과 관련하여 작품의 연출상의 창조적인 문제를 아울러 다룬다. | 
| 460 디지털 콘텐츠 창작 I (Digital Contents Creation I) 3학점 | 
| 컴퓨터 기반의 영상언어와 방식을 도입한 디지털 영상을 기획, 창작한다. | 
| 466 연기 II (Acting II) 3학점 | 
| 연기실습 I의 연장 수업으로서 신체 행동법을 응용한 연기 악보에 의한 역할 만들기 실습을 한다. | 
| 467 영화/TV 연기 (Acting for Film and Television) 3학점 | 
| 영화와 텔레비전 연기의 특성을 연구하고 연기 테크닉을 카메라와 영상 매체에 맞게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 
| 468 원작 분석과 각색 (The Art of Adaptation) 3학점 | 
| 문학작품 또는 실제 사건에 대한 원작 분석 및 각색의 사례 연구와 실제.. | 
| 471 영화 기획과 프로듀싱 (Film Development & Producing) 3학점 | 
| 영화 컨셉 회의부터 제작 완성에 이르는 전체 제작 과정에서 프로듀서의 실질적인 역할과 업무를 익힌다. 주요 논의 주제는 시나리오 기획과 개발(Concept & Development), 원작 및 작가, 제작 예산서 및 촬영 스케줄 작성(Budgeting & Scheduling), 투자/배급자 프레젠테이션(Project Pitching & Financing), 투자 배급 계약 캐스팅 및 스텝 구성과 계약, 촬영 및 후반 작업 진행 등이다. | 
| 480 인턴쉽 I (Internship I) 3학점 | 
| 학교에서의 연구와 실습이 실제 예술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쓰여질 수 있는지, 그리고 예술 산업에서의 실질적 경험과 지식이 학문적 연구와 실습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경험한다. 지도교수와 협력 기관의 면밀한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이 과목은 학문 세계와 프로페셔널 세계를 잇는 매우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한다. 각 인턴쉽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인턴쉽Ⅱ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다. | 
| 481 인턴쉽 II (Internship II) 3학점 | 
| 학교에서의 연구와 실습이 실제 예술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쓰여질 수 있는지, 그리고 예술 산업에서의 실질적 경험과 지식이 학문적 연구와 실습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경험한다. 지도교수와 협력 기관의 면밀한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이 과목은 학문 세계와 프로페셔널 세계를 잇는 매우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한다. 각 인턴쉽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인턴쉽Ⅱ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다. | 
| 500 시나리오 스토리의 극적요소 (Dramatic Elements of Story in Screenwriting) 3학점 | 
| 본 과목에서는 좋은 시나리오를 창조해낼 수 있는 시나리오 기법, 극적 분석, 스토리 요소 등을 다룬다. 영화 스토리에 초점을 맞추지만, 수업에서 배운 원리들은 어떠한 형태의 스토리텔링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 
| 506 편집미학 (Editing Aesthetics) 3학점 | 
| 영화에 있어 편집은 매우 강력한 도구이다. 편집은 일련의 이미지들을 통해 영화언어의 구조를 만들어내며 영화를 독특한 예술의 형태로 만든다. 필름메이커는 뛰어난 영화를 만들기 위해 이러한 기술을 어떻게 잘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본 수업에서는 영상편집, 음향디자인, 후반작업 등에 있어서의 테크닉을 주로 다룬다. | 
| 509 다큐멘터리사 (History of Documentary) 3학점 | 
| 창의적 다큐멘터리영화, 인류학적 영화, 씨네마 베리떼, 다이렉트 씨네마 등 사실적 영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 
| 511 창의적 즉흥공연 프로젝트 (Creative Improvisational Performance Project) 3학점 | 
| 이 과목은 즉흥적 상상력, 다면적 사고능력, 협업능력, 몸과 마음의 조화능력, 무의식 활용능력 등의 계발을 통한 즉흥공연 제작을 목적으로 한다. 현장수업, 워크숍, 인터뷰, 발표와 토론 중심의 공연 프로젝트를통하여 다양한 분야의 창의적 즉흥성을 이해하고 경험하며 학습한다. | 
| 517 공연 실습 (Theatre Workshop) 3학점 | 
| 연기전공과 연출전공 학생들이 함께 그동안 익힌 여러 가지 테크닉을 토대로 공연 실습 발표가 가능할 수 있도록 그룹별로 역할을 맡아 단막극 또는 장막극의 일부에 대한 리허설을 한다. | 
| 524 내러티브 워크숍 및 분석(Narrative Workshop & Analysis) 3학점 | 
| 그룹별로 공동 작업 형태의 내러티브 비디오 프로젝트를 완성한 후 작품에 대한 집중 분석 및 평가를 한다. 각 팀은 완성물을 공개적으로 상영하는데, 이때 각 프로젝트의 예술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공개 토론과 비평이 함께 이루어진다. | 
| 530 다큐멘터리의 쟁점 (Issues in Documentary) 3학점 | 
| 다큐멘터리 영화가 등장한 이후로 끊임없이 재기되는 여러 가지 쟁점들은 과연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집중 분석 토론하여 보다 다각적인 시선으로 다큐멘터리를 읽을 수 있도록 연구해 본다. | 
| 535 연기 세미나-인간연구 II (Seminar in Acting Technique-Human Study II) 3학점 | 
| ‘인간연구 I’에서 습득한 종합적인 통찰력을 바탕으로 사실주의 연기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의 비교 연구와 비사실적인 다른 양식들의 연기 메소드에 대한 특성과 연기 미학을 비교 분석한다. | 
| 537 연기 스타일 연구 (Acting with Style) 3학점 | 
| 서사극에서부터 현대적 절충주의 극까지의 다양한 연기 미학을 연구하며, 연기 실습을 통해 테크닉을 체득한다. | 
| 541 영상 미학 연구 (Applied Media Aesthetics) 3학점 | 
| 미적 이미지의 주요 요소들 즉, 빛과 색, 공간, 시간/동작, 사운드 등에 대해 살펴보며, 그것을 실제 영화/텔레비전 및 기타 영상물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한다. | 
| 542 장편 시나리오 워크숍 I-예술 영화 (Feature ScreenwritingWorkshop I - Art Film) 3학점 | 
| 영화 예술의 역사를 지탱해 온 국내외 ‘예술 영화’에 대한 시나리오 수업으로서 사례분석 및 실제를 다룬다. 중요한 예술 영화 시나리오의 특징과 경향을 집중 연구하여 보다 진보적인 예술 영화의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고 개발한다. 이 코스를 선택한 학생들은 장편 시나리오를 위한 스토리 제안(proposal)을 필히 제출해야 한다. 그 제안은 수업을 통해 개발되고 완성되어질 것이다. | 
| 543 장편 시나리오 워크숍 II-장르 영화 (Feature ScreenwritingWorkshop II- Genre Film) 3학점 | 
| 대중 영화의 꽃인 장르 영화 시나리오의 역사와 특징에 대한 사례분석 및 실제를 다룬다. 멜로, 로맨틱 코미디, 스릴러, 호러, 판타지 등 다양한 국내외 장르 시나리오를 연구하여 한국 영화 산업에 있어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장르 시나리오를 개발한다. 이 코스를 선택한 학생들은 장편 시나리오를 위한 스토리 제안(proposal)을 필히 제출해야 한다. 그 제안은 수업을 통해 개발되고 완성되어질 것이다. | 
| 544 프로덕션 프로젝트 I (Production Project I) 3학점 | 
| 영화, 다큐멘터리, 텔레비젼, 멀티 미디어 등 모든 종류의 영상제작이 가능한 졸업 작품 프로젝트(1년 소요)의 전 단계로서, 시나리오 또는 다큐멘터리 트리트먼트 개발, 콘티뉴이티, 스토리보드, 예산 작성, 촬영계획 등 제반 영상 제작의 프리 프로덕션 단계를 다룬다. 시나리오 전공 및 연기 전공과 연계 가능 과목. | 
| 545 고급 연기 I (Advanced Acting I) 3학점 | 
| 연기 메소드와 신체 행동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장면 연기 실습을 통해 연기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스타일의 장면을 실습해보면서 연기적 적응력을 키운다. | 
| 547 영상 저널리즘 (Digital Cinema Journalism) 3학점 | 
| 시대와 인간 그리고 사회에 대한 통찰을 토대로 중, 장편 디지털 다큐멘터리를 제작한다. 저널리즘적 다큐멘터리를 포함한다. | 
| 549 영화 미학과 내러티브 (Cinematic Aesthetics and Narrative) 3학점 | 
| 영화는 시간적 형태를갖고 있다. 모든 영화에는 시작, 중간, 끝이 있다. 그러나 그것이 이야기 형태로 나타날 때는 그 순서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 영화는 극작, 사진, 연극, 음악, 미술 등 모든 예술 형태의 조합이지만, 감독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창조하기 위해 그러한 요소들을 버무리는 화자이다. 이 수업에서는 이야기에 있어 극적인 순간들을 시각적으로 그리고 관객이 느낄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감독이 시나리오, 연출, 촬영, 편집, 음향 디자인, 프로덕션 디자인, 음악 등의 요소들을 전달함에 있어 장편 영화뿐만 아니라 단편 영화, 다큐멘터리, 뮤직 비디오, 광고 영화, 실험 영화 등의 또 다른 영화적 형식과 그들 사이의 독특한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해볼 것이다. | 
| 550 M.F.A. 콜로퀴움 I (M.F.A. Colloquium I) 3학점 | 
| 영상 제작 및 공연에 있어서의 이론적, 개념적인 측면을 탐구하는 과목으로서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강의로 진행되며 시청각 매체 상영 및 토론 등으로 이루어진다. | 
| 552 M.F.A. 콜로퀴움 II (M.F.A. Colloquium II) 3학점 | 
| 영상 제작 및 공연에 있어서의 이론적, 개념적인 측면을 탐구하는 과목으로서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강의로 진행되며 시청각 매체 상영 및 토론 등으로 이루어진다. | 
| 553 영화 제작 워크숍 I (Film Production Workshop I) 3학점 | 
| 네 명이 한 그룹이 되어 연출, 프로듀서, 촬영, 녹음 등의 역할을 교대로 하며 기술적, 미학적 문제들이 나타나는 4개의 동시 녹음 작품을 완성한다. 제작 경험과 토론을 통해 전반적 제작 기술을 익히는 과목으로서 각자의 작품은 편집 수업을 통해서 편집되어질 수 있다. | 
| 554 영화 제작 워크숍 Ⅱ (Film Production Workshop Ⅱ) 3학점 | 
| 내러티브 영화에 중점을 두는 과목으로서 제작 경험과 토론을 통해 전반적인 제작 기술을 익히며 특히 연출, 스테이징, 촬영, 사운드 편집 등에 대해 탐구해본다. | 
| 555 고급 연기 II (Advanced Acting II) 3학점 | 
| 고급연기 I의 연장 수업으로서 보다 높은 수준의 섬세한 표현 연기 및 오디션을 위한 훈련을 한다. | 
| 556 프로덕션 프로젝트 II (Production Project II) 3학점 | 
| 디지털 장편 시나리오 수업으로서 다양한 사례 분석 및 실제를 다룬다. 디지털 미학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저예산 제작에 알맞은 디지털 시나리오를 창작한다. 연출 전공 및 연기 전공과 연계 가능 과목이다. | 
| 557 중급 영화 제작 I (Intermediate Film Production Workshop I) 3학점 | 
| 초급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을 위한 제작수업으로서 1년(또는 한 학기)에 걸쳐 계속되는 영화 제작 수업. 세미나를 통해 각기 촬영된 데일리 및 러프컷에 대해 토론한다. 본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선 먼저 프로젝트 기안을 제출해야 한다. | 
| 558 마스터 클라스 (Master Class) 3학점 | 
| 영상예술전공의 핵심과목 중의 하나로서 매주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마스터를 초빙하여 그들의 작품에 대한 감상과 함께 강연 및 토론의 시간을 갖는다. | 
| 560 고급 영상 제작 I (Advanced Film & TV Production Workshop I) 3학점 | 
| 영상 작품의 최종 완성 단계로서 프로덕션 및 포스트 프로덕션을 통한 기술적, 미학적인 문제점을 검토 및 수정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 
| 561 고급 다큐멘터리 세미나 및 워크숍 (Advanced Documentary Seminar and Workshop) 3학점 | 
| 30분 미만의 중편 다큐멘터리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고급과정으로서 각 프로젝트는 1개월간의 기획 및 구성 작업, 1개월간의 실제 촬영, 1개월간의 편집 및 후반작업 등으로 이루어진다. 강의, 토론 및 비평이 진행될 것이며 학생들은 동료의 프로젝트에 스탭으로 서로 참여해야한다. | 
| 563 연기 프로덕션 프로젝트 - 영화/연극 (Graduate ActingProduction - Film/Theater) 3학점 | 
| 졸업 작품을 위한 실습으로서 연기 교육에서 터득한 이론과 훈련된 내용을 토대로 영화/연극 제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작품을 선정한 뒤 철저한 리허설을 통해 작품을 완성한다. 연출 및 시나리오 전공과 연계 가능 과목이다. | 
| 564 프로젝트 실무 워크숍 I (Project Workshop I) 3학점 | 
| 산학협동 또는 특수 목적의 프로젝트를 교수와 학생이 함께 연구하며 실행함으로써 프로페셔널한 영상제작의 영역에 대한 심화교육을 한다. | 
| 565 프로젝트 실무 워크숍 II (Project Workshop II) 3학점 | 
| 프로젝트 실무 워크숍 I의 연장으로서 또는 별도의 산학협동 또는 특수 목적의 프로젝트를 교수와 학생이 함께 연구하며 실행함으로써 프로페셔널한 영상제작의 영역에 대한 심화교육을 한다. | 
| 566 프로젝트 실무 워크숍 III (Project Workshop III) 3학점 | 
| 프로젝트 실무 워크숍 II의 연장으로서 또는 별도의 산학협동 또는 특수 목적의 프로젝트를 교수와 학생이 함께 연구하며 실행함으로써 프로페셔널한 영상제작의 영역에 대한 심화교육을 한다. | 
| 567 현장 제작 연구 I (Practicum for Production I) 3학점 | 
| 현업 능력을 배양하고 산학 연구 능력을 배양하는 현장 참여 교육이다 | 
| 568 현장 제작 연구 II (Practicum for Production II) 3학점 | 
| 현업 능력을 배양하고 산학 연구 능력을 배양하는 현장 참여 교육이다 | 
| 569 현장제작연구 III (Practicum for Production III) 3학점 | 
| 현업 능력을 배양하고 산학 연구 능력을 배양하는 현장 참여 교육이다. | 
| 577 주제별 세미나 및 워크숍 I (Seminar and Workshop forSpecial Topics I) 3학점 | 
| 특별 주제에 대해 다양한 문제점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 
| 578 주제별 세미나 및 워크숍 II (Seminar and Workshop forSpecial Topics II) 3학점 | 
| 고급 과정으로서 특별 주제에 대해 다양한 문제점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 
| 579 주제별 세미나 및 워크숍 III (Seminar and Workshop forSpecial Topics III) 3학점 | 
| 고급 과정으로서 특별 주제에 대해 다양한 문제점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 
| 583 특별 주제 연구 I (Special Topic I) 3학점 | 
| 석·박사의 고급 과정 공통 연구 과목으로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개별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영역에서 새로운 주제를 선택하고 이를 최종 결과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584 특별 주제 연구 II (Special Topic II) 3학점 | 
| 석·박사 과정의 고급 공통 연구 과목으로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개별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영역에서 새로운 주제를 선택하고 이를 최종 결과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585 특별 주제 연구 III (Special Topic III) 3학점 | 
| 석·박사 과정의 고급 공통 연구 과목으로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개별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영역에서 새로운 주제를 선택하고 이를 최종 결과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594 개별 연구 및 프로젝트 I (Independent Study and Project I) 3학점 | 
| 전공 주임교수의 승인과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선택 분야에 대한 개인의 연구 및 특별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이 과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도교수의 서면 확인이 있어야 한다. | 
| 595 개별 연구 및 프로젝트 II (Independent Study and Project II) 3학점 | 
| 전공 주임교수의 승인과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선택 분야에 대한 개인의 연구 및 특별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이 과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도교수의 서면 확인이 있어야 한다. | 
| 596 개별 연구 및 프로젝트 III (Independent Study and Project III) 3학점 | 
| 전공 주임교수의 승인과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선택 분야에 대한 개인의 연구 및 특별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이 과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도교수의 서면 확인이 있어야 한다. | 
| 601 Ph.D. 콜로퀴움 I (Ph.D. Colloquium I) 3학점 | 
| 박사 과정 과목으로서 영상 제작 및 공연에 있어서의 이론적, 개념적인 측면을 탐구하는 과목.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강의, 시청각 매체 상영 및 토론 나아가 교실에 국한하지 않고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가상공간을 이용하는 자유로운 형태의 참여 교실 등으로 이루어진다.td> | 
| 602 Ph.D. 콜로퀴움 II (Ph.D. Colloquium II) 3학점 | 
| 박사 과정 고급 과목으로서 콜로퀴움 I의 주제를 더욱 확장된 외부 전문가 그룹과 연결하여 영상 제작 및 공연에 있어서의 이론적, 개념적인 측면을 탐구하는 과목.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강의, 시청각 매체 상영 및 토론, 또는 인터넷 교실 등으로 이루어진다. | 
| 603 작품 분석 (Script Analysis) 3학점 | 
| 드라마 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작가의 의도, 스토리, 주제, 언어들의 개념과 특성 및 역할의 성격 등 분석력을 향상시켜서 상상력과 신체 행동을 통한 연기 표현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604 상호작용성 연구 (Interactivity Study) 3학점 | 
|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인 상호작용성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종 인터랙티브 미디어에서의 제작적 응용성을 탐색한다. | 
| 605 디지털 미디어 언어의 이해(Understanding Digital MediaLanguage) 3학점 | 
|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사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언어 및 표현방식에 대한 이해와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 
| 606 디지털 스토리텔링 (Digital Storytelling) 3학점 | 
| 디지털 미디어의 서사 구조적 측면과 게임학적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적 적용방법을 연구한다. | 
| 607 현대 연극론 (Contemporary Play) 3학점 | 
| 현대 극예술 아티스트들의 작품에서 나타난 현대 연극의 경향에 대한 연구. | 
| 608 영상 연구 방법론 I (Visual Research Methods I) 3학점 | 
| 전통적 또는 디지털 미디어의 영상 표현과 언어를 체계적으로 발표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연구방법을 습득한다. | 
| 609 영상 연구 방법론 II (Visual Research Methods II) 3학점 | 
| 영상연구방법론 I에서 더 높은 수준의 접근이 필요한 이론과 연구방법을 습득한다. | 
| 615 박사 과정 세미나 I (Doctoral Seminar I) 3학점 | 
| 논문을 발전시키기 위한 쟁점과 이슈 중심으로 논의하고 그 결과를 이론적 체계로 접목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 
| 616 박사 과정 세미나 II (Doctoral Seminar II) 3학점 | 
| 주제별 접근연구방법에 초점을 둔다. | 
